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 상품들이 연이어 등장하면서, 많은 청년들이 어떤 상품에 가입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.
특히, 기존의 청년도약계좌와 새로 도입될 예정인 청년미래적금은 비슷해 보이면서도 큰 차이가 있어 더욱 헷갈립니다.
가장 궁금해하는 질문, "두 상품에 중복으로 가입할 수 있을까?"에 대한 답부터 핵심 비교까지,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동시 가입은 불가능합니다.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은 정부의 유사한 정책 상품으로, 중복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한 가지 상품만 선택해 가입해야 합니다.
만약 이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했다면 청년미래적금으로 '갈아타기'를 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니, 향후 정부 발표를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. 두 상품 중 어떤 것이 자신에게 더 유리한지 꼼꼼히 따져보고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 중인 대표적인 정책 상품입니다.
가입 대상: 만 19세~34세 청년 중, 개인소득 7,500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인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.
납입 한도 및 기간: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, 만기는 5년입니다.
정부 기여금: 개인 소득에 따라 납입액의 **3~6%**를 정부가 지원해 줍니다. 연 소득 2,400만 원 이하 청년이 최대 납입액(70만 원)을 채울 경우, 매월 2만 4,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만기 시 수령액: 5년 만기까지 납입하면 최대 5,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.
청년미래적금은 단기간에 더 높은 수익률로 목돈을 모으고 싶은 청년들에게 초점을 맞춘 새로운 상품입니다. 2026년부터 도입될 예정이며, 특히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계획입니다.
가입 대상: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의 청년이라면 가입 가능하며, 특히 중소기업에 신규 취업한 청년이라면 더 유리한 조건이 적용됩니다.
납입 한도 및 기간: 월 최대 5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, 만기는 3년으로 청년도약계좌보다 짧습니다.
정부 기여금: 납입액의 **6~12%**를 정부가 지원해 줍니다. 이는 청년도약계좌보다 훨씬 높은 기여율로, 특히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에게는 더 높은 비율이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.
| 항목 | 청년도약계좌 | 청년미래적금 (예정) |
| 만기 | 5년 | 3년 |
| 월 납입 한도 | 최대 70만 원 | 최대 50만 원 |
| 정부 기여금 | 납입액의 3~6% | 납입액의 6~12% |
| 최대 수령액 | 약 5,000만 원 | 약 2,200만 원 |
| 실질 연이율 효과 | 최대 9.54% | 최대 16.9% (우대형) |
더 큰 목돈을 모으고 싶다면? 청년도약계좌
만기가 길어 납입액을 늘려 더 큰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. 꾸준히 장기 저축을 원하는 청년에게 적합합니다.
짧은 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원한다면? 청년미래적금
만기가 짧고 정부 기여율이 높아 단기간에 높은 이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 3년 내로 자금 활용 계획이 있는 청년에게 유리합니다.
중소기업에 재직 중이라면? 청년미래적금
새로운 제도는 중소기업 신규 취업자를 우대하는 조건이 포함될 예정이라, 훨씬 더 높은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은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합니다. 본인의 소득과 자금 사용 계획, 그리고 중소기업 재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목돈 마련의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.